오스발도 아르딜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발도 아르딜레스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선수 시절에는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1978년 아르헨티나 대표팀의 FIFA 월드컵 우승 멤버였다. 토트넘 홋스퍼에서 FA컵 우승과 UEFA컵 우승을 경험했으며, 잉글랜드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감독으로서는 스윈던 타운,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 시미즈 S-펄스 등을 지도했으며, J리그컵과 천황배 우승을 달성했다. 또한, 영화 배우로도 활동하며, 1981년 영화 '승리의 탈출'에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스발도 아르딜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스발도 세사르 아르딜레스 |
출생일 | 1952년 8월 3일 |
출생지 |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
신장 | 1.70m |
포지션 | 중앙 미드필더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인스티투토 |
클럽 경력 | 1973: 인스티투토 (14경기, 3골) 1974: 벨그라노 (16경기, 2골) 1975–1978: 우라칸 (109경기, 11골) 1978–1988: 토트넘 홋스퍼 (238경기, 16골) 1982–1983 (임대): 파리 생제르맹 (14경기, 1골) 1985 (임대): 세인트 조지-부다페스트 (1경기, 0골) 1988: 블랙번 로버스 (5경기, 0골) 1988–1989: 퀸즈 파크 레인저스 (8경기, 0골) 1989: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스 (5경기, 1골) 1989–1991: 스윈던 타운 (2경기, 0골) |
국가대표 경력 | 1975–1982: 아르헨티나 (51경기, 8골) |
총 출장/득점 | 412경기, 34골 |
감독 경력 | |
감독 경력 | 1989–1991: 스윈던 타운 1991–1992: 뉴캐슬 유나이티드 1992–1993: 웨스트 브롬위치 앨비언 1993–1994: 토트넘 홋스퍼 1995: 과달라하라 1996–1998: 시미즈 에스펄스 1999: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2000–2001: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01: 알-이티하드 2002–2003: 라싱 클럽 2003–2005: 도쿄 베르디 2006: 베이타르 예루살렘 2007: 우라칸 2008: 세로 포르테뇨 2012: 마치다 젤비아 |
국가대표팀 메달 기록 | |
메달 | 경기: 남자 축구 국가: 아르헨티나 대회: FIFA 월드컵 메달: 금메달, 1978 아르헨티나 |
2. 선수 경력
오스발도 아르딜레스는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출신으로, 어린 시절 인스티투토 데 코르도바에서 축구를 시작했다.[5] 유연한 드리블 실력으로 '피톤'(비단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6] 1974년에는 ''엘 그라피코''가 선정한 아르헨티나 최고의 선수로 뽑히기도 했다.[7] 그는 프로 축구 선수가 되기 위해 법학 공부를 포기했다.[7]
1973년 인스티투토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이후 CA 벨그라노(1974)와 CA 우라칸(1975-1978)을 거치며 아르헨티나 리그에서 활약했다.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우승 멤버로 활약한 후, 동료 리카르도 비야와 함께 잉글랜드의 토트넘 홋스퍼 FC로 이적했다. 당시 두 선수의 이적료는 합계 75만파운드에 달했다. 아르딜레스는 토트넘에서 약 10시즌 동안 뛰며 핵심 미드필더로 자리 잡았고, FA컵과 UEFA컵 우승에 기여했다. 특히 1981년 FA컵 우승 당시에는 팀 동료들과 함께 "오시의 꿈"이라는 노래를 녹음하기도 했다.
198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포클랜드 전쟁이 발발하자, 1982-83 시즌 동안 프랑스의 파리 생제르맹 FC으로 잠시 임대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토트넘으로 복귀하여 팀의 UEFA컵 우승을 도왔다.
1988년 토트넘을 떠난 후에는 블랙번 로버스 FC,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미국 아메리칸 사커 리그의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스 등에서 활약했다. 1989년 스윈던 타운 FC의 선수 겸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1991년 이곳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는 A매치 51경기에 출전해 8골을 기록했다.[24][36] 1978년 FIFA 월드컵 우승과 1982년 FIFA 월드컵 출전 경험이 있다. 1982년 월드컵에서는 등번호 1번을 달고 필드 플레이어로 뛰었는데, 이는 당시 아르헨티나 대표팀의 독특한 등번호 배정 방식 때문이었다.[11]
2008년 2월, 아르딜레스는 리카르도 비야와 함께 토트넘 홋스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9][33]
2. 1. 클럽 경력
아르헨티나 코르도바에서 태어난 아르딜레스는 어릴 때부터 인스티투토 데 코르도바에서 축구를 시작했다.[5] 거리 축구를 즐겼으며, 그의 형은 뱀처럼 유연한 드리블 실력 때문에 그에게 ''피톤''(비단뱀)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6] 1974년 아르헨티나 잡지 ''엘 그라피코''가 선정한 최고의 선수로 뽑혔고, 프로 축구 선수가 되기 위해 법학 공부를 포기했다.[7]아르딜레스는 1973년 인스티투토에서 프로 데뷔를 했다. 이후 CA 벨그라노(1974)와 CA 우라칸(1975-1978)에서 활약했다.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의 우승에 기여한 후, 동료 리카르도 비야와 함께 총 이적료 75만파운드에 잉글랜드의 토트넘 홋스퍼 FC로 이적했다. 그는 토트넘에서 약 10시즌 동안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1979년 재팬컵 1979에서는 토트넘 소속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일본과의 경기에서 1골, 결승전 던디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어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31]

1980-81 시즌에는 토트넘의 FA컵 우승을 도왔다. 이 시기 그는 팀 동료들, 팝 듀오 채스 앤 데이브와 함께 "오시의 꿈"이라는 노래를 녹음했는데, 노래에서 토트넘을 '토팅햄'으로 발음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1981-82 시즌 FA컵에서도 준결승 레스터 시티전 득점 등으로 결승 진출에 기여했으나,[32] 1982년 FIFA 월드컵 참가로 인해 결승전에는 뛰지 못했다.
포클랜드 전쟁이 발발하자 1982-83 시즌 동안 프랑스의 파리 생제르맹 FC으로 임대되었다. 전쟁 후 토트넘으로 복귀하여 1984년 UEFA컵 우승에 기여했다. 1987년 가을에는 잠시 임시 코치직을 맡기도 했다.[8] 아르딜레스는 1988년 토트넘을 떠났다.

이후 블랙번 로버스 FC(1988),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1989)를 거쳤고, 1989년에는 미국 아메리칸 사커 리그의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스에서 잠시 뛰었다. 1989년 7월 스윈던 타운 FC의 선수 겸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1991년 이곳에서 선수 경력을 마감했다.
2008년 2월 7일, 아르딜레스는 리카르도 비야와 함께 토트넘 홋스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9][33]
클럽 | 시즌 | 리그 | FA컵 | 리그컵 | 대륙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인스티투토 | 1973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14 | 3 | |||||||||||||||
벨그라노 | 1974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16 | 2 | |||||||||||||||
우라칸 | 1975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16 | 0 | |||||||||||||||
1976 | 41 | 7 | |||||||||||||||||
1977 | 52 | 4 | |||||||||||||||||
1978 | |||||||||||||||||||
합계 | 109 | 11 | |||||||||||||||||
토트넘 홋스퍼 | 1978–79 | 풋볼 리그 1부 | 38 | 3 | |||||||||||||||
1979–80 | 40 | 3 | |||||||||||||||||
1980–81 | 36 | 5 | |||||||||||||||||
1981–82 | 26 | 2 | |||||||||||||||||
1982–83 | 2 | 0 | |||||||||||||||||
1983–84 | 9 | 0 | |||||||||||||||||
1984–85 | 11 | 2 | |||||||||||||||||
1985–86 | 23 | 1 | |||||||||||||||||
1986–87 | 25 | 0 | |||||||||||||||||
1987–88 | 28 | 0 | |||||||||||||||||
합계 | 238 | 16 | |||||||||||||||||
파리 생제르맹 (임대) | 1982–83 | 리그 1 | 14 | 1 | 3 | ||||||||||||||
세인트 조지 FC (임대) | 1985 | 내셔널 사커 리그 | 1 | 0 | |||||||||||||||
블랙번 로버스 | 1987–88 | 풋볼 리그 2부 | 5 | 0 | |||||||||||||||
퀸즈 파크 레인저스 | 1988–89 | 풋볼 리그 1부 | 8 | 0 | |||||||||||||||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스 | 1989 | 아메리칸 사커 리그 | 5 | 1 | |||||||||||||||
스윈던 타운 | 1989–90 | 풋볼 리그 2부 | 2 | 0 | |||||||||||||||
1990–91 | 0 | 0 | |||||||||||||||||
합계 | 2 | 0 | |||||||||||||||||
통산 | 412 | 34 |
2. 2. 국가대표팀 경력
그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했으며, A매치 51경기에 출전하여 8골을 기록했다.[24][36]1975년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 감독에 의해 아르헨티나 성인 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었다.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된 1978 FIFA 월드컵에서는 다니엘 파사레야, 마리오 켐페스 등과 함께 주전 선수로 활약하며 팀을 이끌었다. 그는 대회 6경기에 출전하여 1차 리그 프랑스전과 2차 리그 폴란드전에서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등[29] 아르헨티나의 사상 첫 월드컵 우승에 크게 기여했으며, 대회 최우수 미드필더로 선정되었다.[10][30]
1982 FIFA 월드컵에서도 5경기에 모두 출전하여 헝가리를 상대로 1골을 기록했다.[29] 이 대회에서 그는 등번호 1번 셔츠를 입었는데, 이는 당시 아르헨티나 대표팀이 에이스를 제외한 선수들의 등번호를 성(姓)의 알파벳 순서대로 배정하는 정책을 따랐기 때문이다. 디에고 마라도나가 선호하는 10번을 달 수 있도록 예외를 둔 결과였다.[11] 이로 인해 아르딜레스는 '등번호 1번을 단 필드 플레이어'로도 잘 알려져 있다.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골 |
---|---|---|---|
아르헨티나 | 1975 | 8 | 4 |
1976 | 9 | 1 | |
1977 | 11 | 0 | |
1978 | 12 | 2 | |
1979 | 1 | 0 | |
1981 | 2 | 0 | |
1982 | 8 | 1 | |
합계 | 51 | 8 |
아르딜레스는 1981년 제2차 세계 대전 영화인 ''승리의 탈출''에서 카를로스 레이 역을 맡아 출연했다.
그는 1973년 12월 같은 아르헨티나 출신인 실비아 나바로와 결혼했다.[20]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 상세 내용 기술됨)
3. 지도자 경력
1989년 7월, 루 마카리 감독이 웨스트햄 유나이티드로 이적하자 아르딜레스는 잉글랜드 2부 리그의 스윈던 타운 감독으로 부임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기존의 롱볼 위주 전술 대신 짧은 패스를 중시하는 남미 스타일 축구와 미드필더를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치하는 4–4–2 변형 전술("다이아몬드 포메이션")을 도입하여 팬들의 호응을 얻었다. 부임 10개월 만인 1990년, 팀을 2부 리그 4위로 이끌었고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선덜랜드를 꺾고 구단 역사상 첫 1부 리그 승격을 확정 지었다. 그러나 승격 확정 10일 후, 선수들에게 부당한 금전을 지급했다는 재정 문제로 풋볼 리그에 의해 승격이 취소되었다.
다음 시즌, 구단은 심각한 재정난으로 인해 아르딜레스에게 앨런 맥러플린 등 주축 선수들을 팔도록 지시했고, 팀 성적은 하락했다. 1991년 2월 말, 팀이 강등 위기에 처하자 그는 뉴캐슬 유나이티드의 감독직 제안을 수락하며 구단 최초의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 하지만 뉴캐슬에서의 감독 생활은 성공적이지 못했고, 팀이 2부 리그 최하위로 떨어지자 1년도 채 안 되어 해임되었다. 후임 케빈 키건 감독 아래에서 팀은 강등을 면했다.
1992년 6월, 아르딜레스는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1992-93 시즌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디비전 2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포트 베일을 꺾고 1부 리그 승격을 달성했다.
승격 직후인 1993년, 그는 친정팀인 토트넘 홋스퍼의 감독으로 복귀했다. 토트넘은 위르겐 클린스만, 테디 셰링엄, 일리 두미트레스쿠, 게오르게 포페스쿠 등 유명 선수들을 영입했음에도 불구하고, 1993-94 시즌 프리미어리그에서 15위에 그치는 등 성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결국 1994년 10월, 성적 부진으로 해임되었다. 당시 토트넘은 1980년대 후반에 저지른 재정적 부정행위로 인해 FA로부터 벌금 및 승점 감점 징계를 받은 상태이기도 했다.
1995년에는 멕시코 리그의 과달라하라를 잠시 감독했다.
1996년, 일본 J리그의 시미즈 S-펄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나비스코컵 우승(1996)과 토카이 컵 2회 우승(1996, 1998)을 이끌었으며, 1998년에는 J리그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하지만 1998년 시즌 종료 후 천황배를 앞두고 해임되었다.
1999년에는 크로아티아의 디나모 자그레브 감독을 맡았으나, 성적 부진을 이유로 같은 해 여름 해임되었다.
2000년 1월,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감독이 되었다. 그해 J리그 1st 스테이지 우승을 차지했으나, 챔피언십 결정전에서는 가시마 앤틀러스에 패배했다. 이듬해인 2001년 6월, 성적 부진과 더불어 외국인 선수 영입 문제로 구단 수뇌부와 갈등을 겪으며 해임되었다.[12]
이후 시리아의 알이티하드를 잠시 맡았다가 2002년 아르헨티나의 라싱 클루브 감독으로 부임하여 2003년까지 팀을 이끌며 리그 6위를 기록했다.
2003년, 세 번째로 일본 J리그 팀인 도쿄 베르디의 감독을 맡았다. 2004년 천황배 우승을 차지하며 팀에 8년 만의 메이저 트로피를 안겼다. 그러나 2005년 시즌 대량 실점 경기가 이어지는 등 부진을 겪었고, 같은 해 7월 9경기 연속 무승 등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해임되었다.[13]
2006년 중반에는 이스라엘의 베이타르 예루살렘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구단 이사회와의 심각한 의견 차이로 인해 같은 해 10월 18일 몇 달 만에 사임했다.
잠시 휴식을 취한 뒤 2007년 9월, 고국 아르헨티나의 우라칸 감독으로 임명되어 아페르투라 2007에서 팀을 리그 7위로 이끌었으나 시즌 종료 후 사임했다.
2008년 5월에는 파라과이 클럽 세로 포르테뇨에 합류했지만[14], 부진한 결과로 인해 같은 해 8월 해고되었고, 페드로 트로글리오로 교체되었다.[15]
2012년, 일본 J2리그의 마치다 젤비아 감독으로 취임했지만, 2012 시즌 J2에서 최하위를 기록하여 JFL로의 강등이 결정되었다. 같은 해 11월 17일, 감독에서 해임되었다.[34]
=== 감독 통계 ===팀 국가 시작 종료 경기 승 무 패 승률 (%) 스윈던 타운 잉글랜드 1989 1991 95 32 33 30 33.68 뉴캐슬 유나이티드 잉글랜드 1991 1992 52 12 18 22 23.08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 잉글랜드 1992 1993 55 30 11 14 54.55 토트넘 홋스퍼 잉글랜드 1993 1994 56 17 14 25 30.36 과달라하라 멕시코 1995 1995 19 7 7 5 36.84 시미즈 S-펄스 일본 1996 1998 124 72 7 45 58.06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1999 1999 19 9 5 5 47.37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2000 2001 40 21 2 17 52.50 라싱 클루브 아르헨티나 2002 2003 59 25 16 18 42.37 도쿄 베르디 일본 2003 2005 67 22 20 25 32.84 베이타르 예루살렘 이스라엘 2006 2006 7 3 2 2 42.86 우라칸 아르헨티나 2007 2007 12 5 4 3 41.67 FC 마치다 젤비아 일본 2012 2012 42 7 11 24 16.67 합계 647[25] 260 150 237 40.19
4. 미디어 경력
이후 2010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RTÉ 스포츠의 해설진에 합류했다.[16][17][18] 그는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도 RTÉ 팀의 일원으로 해설을 맡았다.[19]
5. 개인사
1981년에는 실베스터 스탤론이 주연한 영화 승리의 탈출에 출연했다. 이 영화에는 펠레, 바비 무어, 마이크 서머비, 존 워크 등 당대의 유명 축구 선수들이 함께 출연했으며, 아르딜레스는 연합군 포로 팀 선수로 등장하여 1골을 넣는 역할을 맡았다.
1982년 영국과 아르헨티나 사이에 포클랜드 전쟁이 발발했을 때, 그의 사촌 호세는 5월 1일 아르헨티나의 첫 폭격으로 사망했다.[21] 당시 아르딜레스는 토트넘 소속이었는데, 팬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아 "오지가 남아준다면, 포클랜드는 아르헨티나에 줘도 괜찮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릴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2014년 1월, 리카르도 빌라와 함께 다큐멘터리 ''30 for 30'' 촬영차 방문한 포클랜드 제도에서 교통사고를 당했다.[22] 이 사고로 경미한 부상을 입고 머리에 20바늘 이상 꿰매는 치료를 받았다.[23]
취미는 독서, 체스, 오페라 감상이다.
6. 수상 내역
6. 1. 선수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된 1978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 대표팀의 주전 선수로 활약했다. 다니엘 파사레야, 마리오 켐페스 등과 함께 팀을 이끌었으며, 대회 6경기에 출전하여 1차 리그 프랑스전과 2차 리그 폴란드전에서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등[29] 아르헨티나의 자국 첫 월드컵 우승에 기여하며 대회 최우수 미드필더로 선정되었다[30]. 1982 FIFA 월드컵에서는 5경기에 모두 출전하여 헝가리를 상대로 1골을 기록했다[29]. 당시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에이스를 제외한 선수들의 등번호를 이름의 알파벳순으로 배정하는 관습이 있었기 때문에, 아르딜레스는 필드 플레이어임에도 등번호 1번을 달고 경기에 나서기도 했다.
1978년 월드컵 이후, 동료 선수 리 카르도 빌라와 함께 이적료 75만파운드에 잉글랜드의 토트넘 홋스퍼로 이적했다. 그는 약 10시즌 동안 토트넘에서 활약했다. 1979년 재팬컵 1979에 토트넘 소속으로 참가하여 일본과의 경기에서 1골을 넣었고, 결승전인 던디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는 결승골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31]. 1980-81 시즌과 1981-82 시즌 FA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특히 1981-82 시즌 FA컵 준결승 레스터 시티전에서는 1골을 기록하며 팀의 결승 진출에 기여했다[32]. 하지만 1982년 포클랜드 전쟁이 발발하자, 아르헨티나 국적이었던 아르딜레스는 혼란을 피해 프랑스의 파리 생제르맹으로 잠시 임대 이적했다. 토트넘 복귀 후에는 1984년 UEFA컵 우승에 기여했다. 이후 퀸즈 파크 레인저스와 미국 리그에서 짧게 활동한 뒤 현역에서 은퇴했다. 2008년에는 토트넘 홋스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33].
'''우라칸'''
'''토트넘 홋스퍼 FC'''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개인'''6. 2. 감독
1989년 7월, 스윈던 타운의 감독 루 마카리가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 FC로 떠나자 아르딜레스가 후임 감독으로 부임했다. 당시 스윈던 타운은 롱볼 위주의 축구를 구사했으나, 아르딜레스는 4-4-2 포메이션을 변형하여 공격형, 수비형, 좌우 윙 미드필더를 두는 '다이아몬드 포메이션'을 도입하며 남미 스타일의 패스 축구를 시도했다. 부임 10개월 만에 팀을 2부 리그 4위로 이끌며 플레이오프를 통해 1부 리그 승격을 확정지었다. 그러나 10일 후, 구단이 선수들에게 부당한 금전을 지급했다는 회계 부정 혐의로 승격이 취소되는 아픔을 겪었다.
다음 해, 심각한 재정난에 시달리던 스윈던 타운은 선수들을 팔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때 뉴캐슬 유나이티드 FC로부터 감독직 제안을 받고 이를 수락했으나, 뉴캐슬에서는 좋지 못한 성적으로 1년도 채 안 되어 해임되었다. 1992년 6월에는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의 감독을 맡아 1993년 플레이오프를 통해 팀의 1부 리그 승격을 이끌었다.
1993년에는 선수 시절 활약했던 친정팀 토트넘 홋스퍼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당시 토트넘은 위르겐 클린스만, 테디 셰링엄, 일리에 두미트레스쿠, 게오르게 포페스쿠 등 유명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994-95 시즌 리그 15위에 그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결국 아르딜레스는 1994년 10월에 해임되었지만, 팬들에게는 여전히 사랑받는 감독으로 남았다. 1995년에는 잠시 멕시코로 건너가 CD 과달라하라를 감독했다.
1996년에는 일본 J리그의 시미즈 S-펄스 감독으로 부임하며 일본 무대에 발을 들였다. 그해 나비스코컵(현 J리그컵) 우승을 차지하며 팀 창단 첫 메이저 타이틀을 안겼고, 1996년과 1998년에는 토카이 컵에서도 우승했다. 1998년에는 J리그 전반기 준우승, 후반기 5위를 기록했으며, 그해 J리그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시즌 종료 후 천황배를 앞두고 갑작스럽게 해임되었다.
1999년에는 크로아티아의 NK 디나모 자그레브 감독을 맡았으나, 같은 해 여름 성적 부진으로 물러났다. 2000년 1월,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지휘봉을 잡았다. 그해 J리그 1st 스테이지에서 우승을 차지했지만, 2nd 스테이지에서는 5위에 그쳤고 챔피언십 결정전에서 가시마 앤틀러스에 패배했다. 이듬해인 2001년 6월, 성적 부진과 외국인 선수 영입 문제로 구단 수뇌부와 갈등을 빚으며 해임되었다.
이후 시리아의 알이티하드를 잠시 감독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해임되었고, 2002년에는 아르헨티나의 라싱 클루브 감독을 맡아 리그 6위를 기록했다. 2003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베르디의 감독이 되었다. 2004년 천황배 우승을 이끌며 팀에 8년 만의 메이저 타이틀을 안겼지만, 2005년 시즌 도중 대량 실점 경기가 반복되는 등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7월에 해임되었다.
2006년에는 이스라엘의 베이타르 예루살렘 FC을 감독했으나 그해 10월 18일에 해임되었고, 이후 아르헨티나의 CA 우라칸(2007년)과 파라과이의 세로 포르테뇨(2008년)를 차례로 이끌었다. 2012년에는 일본 J2리그의 FC 마치다 젤비아 감독으로 부임했지만, 팀은 그해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JFL로 강등되었고, 아르딜레스는 2012년 11월 17일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34]
'''감독 수상 경력'''
클럽 | 대회 | 우승 연도 |
---|---|---|
스윈던 타운 | 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 플레이오프 | 1990 |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 | 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 플레이오프 | 1993 |
시미즈 S-펄스 | J리그컵 | 1996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J1리그 1st 스테이지 | 2000 |
도쿄 베르디 | 천황배 | 2004 |
'''개인 수상'''
- J리그 올해의 감독상: 1998
참조
[1]
웹사이트
Ardiles: Osvaldo César Ardiles: Manager
http://www.bdfutbol.[...]
BDFutbol
2017-12-21
[2]
뉴스
Ossie Ardiles
https://www.theguard[...]
2010-05-20
[3]
뉴스
The rise and fall of British or Irish managers in the Premier League
http://www.eurosport[...]
2015-10-05
[4]
뉴스
Ardiles joins Bill and the Boys
http://www.irishtime[...]
2010-06-01
[5]
서적
Ardiles
2009
[6]
간행물
Ossie Ardiles
Haymarket Group
2008-04-01
[7]
서적
Ardiles
2009
[8]
문서
Note
[9]
웹사이트
Hall of Fame
http://www.tottenham[...]
Tottenhamhotspur.com
2010-06-29
[10]
서적
Ardiles
2009
[11]
뉴스
L'88 di Buffon, il "44Gatti" e l'1 di Ardiles: storia dei numeri pazzi
http://www.gazzetta.[...]
2017-08-23
[12]
뉴스
Ardiles axed as Yokohama coach
http://news.bbc.co.u[...]
2008-01-19
[13]
뉴스
Ardiles sacked by Japanese side
http://news.bbc.co.u[...]
2008-01-19
[14]
웹사이트
Osvaldo Ardiles will lead to Cerro Porteño
http://www.geofutbol[...]
2008-12-03
[15]
웹사이트
Cerro Porteno Fire Ossie Ardiles Goal.com
http://www.goal.com/[...]
2018-12-11
[16]
뉴스
Ardiles and Hamann join RTÉ for World Cup
https://web.archive.[...]
2010-06-04
[17]
뉴스
RTÉ hopes Ossie and squad will spur fans to back home team
http://www.independe[...]
2010-06-02
[18]
뉴스
RTÉ roll out big guns for their 56 live games
https://web.archive.[...]
2012-10-21
[19]
뉴스
Friedel, Ardiles & Lennon join RTÉ for World Cup
https://web.archive.[...]
RTÉ
2014-06-06
[20]
서적
Ardiles
2009
[21]
서적
Everybody Wants To Rule The World: Britain, Sport & The 1980s
Yellow Jersey Press
2023-05-04
[22]
웹사이트
Ardiles and Villa unhurt after Falklands crash - ESPN.co.uk
https://web.archive.[...]
2014-07-14
[23]
웹사이트
Ossie Ardiles involved in car accident in Falkland Islands
https://www.bbc.com/[...]
2014-01-22
[24]
NFT
[25]
웹사이트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26]
웹사이트
1981/82 Charity Shield
http://www.footballs[...]
footballsite.co.uk
2019-11-04
[27]
웹사이트
Golden Foot – Osvaldo Ardiles
https://web.archive.[...]
Goldenfoot.com
2015-02-09
[28]
웹사이트
IFFHS ALL TIME ARGENTINA MEN'S DREAM TEAM
https://iffhs.com/po[...]
2021-08-26
[29]
웹사이트
Ossie Ardiles Nationalteam
https://www.transfer[...]
2023-09-12
[30]
서적
Ardiles
2009
[31]
웹사이트
キリンカップ1979
https://www.kirin.co[...]
2024-09-22
[32]
문서
월드컵 참가를 위해 결승전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33]
웹사이트
Hall of Fame
http://www.tottenham[...]
Tottenhamhotspur.com
2010-06-29
[34]
뉴스
オズワルド・アルディレス監督 退任のお知らせ
http://www.zelvia.co[...]
FC町田ゼルビア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2-11-18
[35]
웹사이트
置かれた環境で悩むすべての人へ 干されてもがき、信念を貫いた元日本代表の言葉
https://www.soccer-k[...]
2023-09-12
[36]
웹사이트
{{PAGENAMEBASE}}
https://www.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